저주파에서 효율성이 향상된 음향 장치입니다. 디자인 및 외부 디자인 옵션

초단파에 대한 고품질 라디오 방송의 도입과 자기 음향 녹음 및 장시간 재생되는 축음기 레코드의 우수한 재생으로 인해 고품질 사운드 재생이 가능한 장비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대다수의 산업용 및 아마추어 라디오 수신기 및 증폭기에서 사운드 재생은 단일 스피커에서 발생하며 특히 오케스트라 음악을 재생할 때 음질이 급격히 저하됩니다. 소리가 난다한 지점에서. 또한, 기존의 디퓨저 일렉트로다이나믹 스피커는 고주파 스펙트럼의 방향이 고르지 않아 특히 청취자가 실내에서 이동할 때 사운드 재생 품질이 저하됩니다. 최근에는 확성기가 상자의 전면 벽뿐만 아니라 측면 벽에도 설치되는 소위 스테레오 사운드의 음향 시스템이 널리 사용됩니다. 이러한 스피커 배열을 사용하면 실내 벽에서 소리가 반사되어 고주파수에서의 지향성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고 재생 품질이 크게 향상됩니다.

자연에 가까운 사운드를 얻으려면 사운드 재생 장비의 모든 부품에 적절한 품질 표시가 있어야 합니다. 우선, 저주파 증폭기는 30~15000Hz의 주파수 대역 재생을 제공하고, 더 낮은 주파수와 더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어야 하며, 비선형 왜곡이 최소화되고 다음을 가져야 합니다. 출력 파워, 스피커 시스템의 정상적인 스윙에 충분합니다. PRN 현재 상태전자공학에서는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갖는 증폭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이 주파수 대역의 고품질 재생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제조하는 것보다 훨씬 쉽습니다.

광대역 음향 장치에 대한 다음 설명에서는 서라운드 사운드 4개의 스피커가 사용되며 그 중 2개는 서로 안쪽에 위치하며 상자의 전면 벽에 배치됩니다. 스피커 아래 이 벽에는 방출되는 저주파 출력을 위한 직사각형 컷아웃이 있습니다. 반대쪽동일한 위상의 대형 스피커 콘. 대형 디퓨저 중앙에 작은 스피커를 배치하면 전체 재생 대역폭이 확장되고 고주파수 영역의 지향성 특성과 출력이 향상됩니다.

박스 측면 벽에 위치한 두 개의 라우드스피커는 사운드 재생에 3차원 효과를 제공하고 극성 패턴도 향상시킵니다.

스피커는 다음 위치에 있습니다. 나무 박스, 그 치수는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벽은 합판이나 건식판으로 10mm 이상 얇아서는 안 됩니다. 상자 내부는 접착제로 붙이거나 덮개를 씌워야 합니다. 흡음재(펠트, 천, 벨벳 등).

사용된 스피커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름을 딴 리가 공장에서 생산된 것입니다. 움직이는 시스템의 공진이 가장 낮은 T-689 또는 Riga-10 수신기의 Popov. 영구 자석을 사용하거나 바이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3개의 스피커는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1GD-1 유형입니다. 그 중 하나는 단단한 디퓨저(예: Whatman 종이)와 150-180Hz의 주파수에서 자체 공명을 갖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나머지 2개의 스피커는 기존의 디퓨저를 가질 수 있지만 공진 주파수는 20-40Hz만큼 다른 것이 바람직합니다(설명된 설계에서는 공진 주파수가 100Hz 및 130Hz인 스피커가 사용됨).

움직이는 스피커 시스템의 고유 공명을 확인하려면 GZ-1, ZG-2A, ZG-10 유형의 사운드 발생기가 필요합니다. 테스트 중인 확성기는 발생기의 출력에 연결되고 진공관 전압계(유형 LV-9, VKS-7)는 보이스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어 약 3-5V의 전압이 적용됩니다.

다이얼을 천천히 돌리면 사운드 생성기영점에서 주파수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튜브 전압계의 바늘을 관찰하고 첫 번째 최대 피크 순간에 판독값이 사운드 발생기의 다이얼 눈금에 기록됩니다. 이 주파수는 테스트 중인 스피커의 이동 시스템. 이러한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여 기기 판독값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진공관 전압계가 없는 경우 움직이는 스피커 시스템을 사운드 발생기의 출력에 연결하여 시각적으로 고유한 공명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이얼을 돌려 테스트 중인 스피커의 디퓨저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디퓨저 진동의 진폭이 최대가 되는 순간, 이는 공진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150-180Hz의 자체 공명을 갖는 스피커는 그림 2와 같이 대형 스피커(T-689 또는 Riga-10 수신기)의 중앙 부분에 위치합니다. 이렇게하려면 모양과 치수가 그림 3에 표시된 어댑터 스탠드를 만들어야합니다. 대형 스피커 코어의 디퓨저 측면에 직경 5.2mm의 구멍을 뚫고 M-6 나사산을 8~10mm 깊이로 자릅니다. 이 작업은 금속 부스러기가 스피커 틈새로 들어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코어와 코일 사이의 틈을 젖은 솜으로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드릴링 및 스레딩이 완료되면 칩이 틈새로 떨어지지 않도록 칩이 묻은 젖은 탈지면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코어를 닦아냅니다. 작은 조각 하나하나가 틈새에 들어간 경우에는 성냥을 얇게 썬 막대나 면모로 감싼 후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리가 공장 nm의 일부 확성기에서. 구형 와셔인 Popov가 디퓨저 중앙에 접착되어 코어를 덮습니다. 이 디자인의 경우 아세톤이나 용제를 사용하여 접착 부위를 완전히 적시고 접착제를 녹인 후 와셔를 조심스럽게 제거해야합니다.

소형 스피커의 경우 중앙에 조심스럽게 구멍을 뚫고 대형 스피커의 코어와 동일한 치수로 나사산을 절단하여 칩으로 인해 틈이 막히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취합니다. 준비된 스탠드의 한쪽 끝은 작은 스피커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0.8-1.2 및 250cm 길이의 PEL-1 와이어의 두 끝을 보이스 코일 단자의 꽃잎에 납땜한 후 스탠드에 나사산을 사용하여 대형 스피커 코어의 구멍에 나사로 고정합니다. 중지합니다.

이렇게 조립된 두 개의 확성기 시스템은 박스 전면에 설치되어 볼트나 나사로 고정되며, 소형 확성기의 출력단은 대형 확성기의 디퓨저 홀더 테두리에 의해 곧게 펴져 압착됩니다. 보드가 단락되지 않았는지 확인하십시오. 나머지 두 개의 스피커는 상자 측면 벽에 있는 구멍에 장착됩니다.

모든 라우드스피커가 제 위치에 있으면 디퓨저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위상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주머니 손전등의 3-4V 배터리가 필요합니다. 배터리는 확성기 중 하나의 보이스 코일 출력 끝 부분에 연결되어야 하며 연결 ​​시 디퓨저가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앞으로 배출하십시오. 배터리 극성이 바뀌면 반대 현상이 발생합니다. 다음으로 나머지 스피커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여 디퓨저를 앞으로 던질 때 보이스 코일 끝에 극성을 표시합니다. 그런 다음 소형 스피커의 보이스 코일 3개를 모두 직렬로 연결합니다(그림 4, a 참조). 그림 4b는 2채널 증폭기에서 작동하는 데 사용되는 스피커의 스위치 온을 보여줍니다.

모든 라우드스피커를 설치, 장착 및 위상 조정한 후에는 외부 구멍을 장식용 천으로 덮어 적절한 프레임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장치는 12-15Ω의 부하 저항을 위해 설계된 증폭기 또는 수신기의 출력에서 ​​켤 수 있습니다. 전력은 약 8-10W 여야합니다.

KAA-100 음향 장치는 1992년 V. Shorov와 E. Kuznetsov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후 1994년 국제 전시회 "Telecinema and Radio Engineering"에서 RTV 기업(모스크바)에 의해 100AC-017 음향 시스템으로 시연되었습니다. “Svyaz Expokomm-95". 전문가들은 이 클래스 제어 장치 또는 모니터의 단위를 호출합니다. 이 액티브 스피커 시스템용 앰프를 선택할 때 다양한 옵션을 테스트했습니다. 그 중 최고는 G. Bragin이 Radio(1987, No. 4, pp. 28-30)에 출판한 증폭기였습니다. 그런 다음 Melodiya, VGTRK 및 RTV의 사운드 엔지니어가 스피커를 검사하는 동안 전문 제어 장치 HEC-12 및 NES-45와 비교하여 사운드 재생 품질이 더 나은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제어 음향 장치 KAA-100은 스튜디오 하드웨어 라디오 센터에 설치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제어 음향 장치 KAA-100은 패시브 크로스오버 필터와 오디오 주파수 전력 증폭기를 갖춘 3방향 음향 시스템(저주파수용 저음 반사)으로 구성됩니다. UMZCH 입력은 대칭 차동입니다.

명세서

정격 입력 전압: 0.775V
입력 임피던스: 24kΩ
4Ω 부하에서 UMZCH 정격 전력: 100W
30Hz~15kHz 대역에서 UMZCH 정격 출력 전력의 고조파 계수, 최대: 0.1%
최대 피크 전력: 150W
0.5dB의 고르지 않은 주파수 응답을 갖는 UMZCH(주파수 보정기가 비활성화된 상태)의 공칭 주파수 범위: 20...40000Hz
UMZCH 통과 대역의 상한(-3dB 레벨), 최소: 90kHz
86dB 이상의 공칭 신호 레벨에 대한 통합 간섭으로부터의 내성
주파수 대역 40Hz...20kHz에서 음압의 주파수 응답 불균일: ±4dB
스피커의 유효 작동 주파수 범위: 30~25000Hz
최대 장기 전력에 해당하는 음압 수준, 이상: 105dB
전체 크기: 1250x400x355mm
무게: 37kg

베이스 리플렉스 및 패시브 크로스오버 필터를 갖춘 3방향 스피커(그림 1의 스피커 회로)는 3개의 다이내믹 헤드를 사용합니다. 75GDN-1-4 헤드는 저주파 재생에 사용되고, 20GDS-1-8 헤드는 중주파수 재생에, 10GDV-2-16 헤드는 고주파 재생에 사용됩니다. 필터의 대역 분리 주파수는 650Hz와 5000Hz입니다. 스피커 캐비닛의 모양은 중주파 및 고주파수 범위에서 소리 방사의 방향성에 대한 가장 넓은 특성을 실현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캐비닛 내부에 형성되는 정재파의 강도를 약화시킵니다. 같은 목적으로 하우징의 내벽은 흡음재로 처리됩니다. 배음의 특성을 갖는 일시적인 왜곡을 억제하기 위해 중주파 스피커 헤드의 주요 공명에 대한 음향 감쇠가 적용됩니다.

90년대 초반의 비즈니스 관성 조건을 관리한 V.I. Shorov에게 경의를 표할 가치가 있습니다. 당시 이 놀라운 스피커 시스템을 개발하고 생산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의 리더십 하에 기울어진 측면 패널과 대칭적으로 배치된 슬롯형 베이스 반사 장치를 갖춘 스피커 시스템이 설계 및 제조되었습니다.


스피커 하우징(증폭기가 없는 버전)의 스케치가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3. 저주파 설계의 볼륨은 약 47리터이며 베이스 반사는 40Hz의 주파수로 조정됩니다. 본체의 가변 단면과 측면 패널을 따라 슬롯형 베이스 반사가 이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5..1dB 크게 - 결과적인 주파수 응답의 불균일성을 줄여 사운드의 미세 역학 개선에 기여했습니다(국내 다이나믹 헤드에 조립된 다른 헤드와 비교하여). 이 스피커는 표현력이 풍부한 미드레인지 구조의 6ac를 갖고 있으며, 사운드는 깨끗하고 정확하여 공간적 그림에서 악기의 위치를 ​​잘 포착합니다.

스피커 본체는 16mm 두께의 합판으로 만들어졌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비닐 필름 "포드우드"로 덮여 있습니다. 스페이서 프레임도 마분지로 만들어져 구조의 강성을 높입니다. 전면 패널을 제외한 내부 표면에는 흡음재(기술용 거즈로 덮인 면 매트)가 늘어서 있습니다. 내부 부피가 2리터에 달하는 미드레인지 헤드박스에도 정재파 발생을 방지하는 흡음재가 탑재됐다. 대략적인 본체 치수: 하단 베이스 – 350x400mm, 상단 베이스 – 150x200mm, 높이 – 1030mm(휠 지지대 제외).

저주파 및 중간 범위 헤드용 패시브 필터는 1차(옥타브당 6dB)이고 고주파수용 필터는 3차(옥타브당 18dB)입니다. LF 코일은 변압기 강철로 만들어진 코어로 만들어지며 나머지는 플라스틱 프레임에 평범합니다. 커패시터 - 160V 전압용 K73-16, 저항기 - 8W 전력용 비유도 C5-16V

AS에는 70-80년대의 고전인 75GDN-2, 20GDS-4-8 및 10GDV-2-16과 같은 다른 헤드 세트가 있어야 했습니다.

당시 소련 산업에서는 분리 필터를 갖춘 이 스피커 디자인이 다른 많은 스피커 중에서 가장 진보된 제품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구별되는 특징스피커의 사운드는 개방적이고 섬세한 악기 사운드입니다. 다이내믹 드라이버의 신중한 선택과 외부 음향 설계를 통해 러시아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진정한 고품질 스피커를 최대한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날에도 대부분의 객관적이고 주관적인 특성에서 이 시스템은 중저가 플로어 스탠딩 스피커보다 열등하지 않습니다.

3밴드 주파수 교정기 UMZCH를 사용하면 오디오 범위의 저, 중, 고주파에서 주파수 응답을 ±6dB 이상 변경할 수 있습니다.

KAA-100의 전면 패널에는 공급 전압이 켜져 있고("네트워크") 스피커 시스템이 과부하("과부하")되었으며 보호 기능이 활성화되어 UMZCH 출력에서 ​​부하가 차단되었음을 알리는 3개의 LED가 있습니다( "보호").

앰프는 음향 장치의 하단에 위치합니다. 케이스 뒷면에서 삽입되며 전면 패널이 뒷면에 있습니다. 제어실의 증폭기 제어 장치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배열이 많은 경우에 허용됩니다.

UMZCH 전면 패널에는 방열판 외에 강력한 트랜지스터입력 및 네트워크 커넥터, 스위치가 있습니다 주전원퓨즈, 입력 신호 레벨 조정기 및 고주파수, 중주파수, 저주파용 슬롯형 주파수 응답 조정기 등이 있습니다.

증폭기는 4개의 보드에 조립됩니다. 입력 차동 증폭기와 3밴드 톤 컨트롤이 하나의 보드에 조립됩니다. 두 번째 보드에는 방열판에 있는 강력한 트랜지스터 없이 증폭기 자체가 장착됩니다. 정류기 다이오드와 보호 장치는 별도의 보드에 위치합니다.

AC 과부하 표시기(R1, R2, C1, VD1, VD2.HL1 요소)는 절연 필터의 입력에 연결됩니다.

내장 앰프의 회로는 그림 1에 나와 있습니다. 2. 구조적으로 여러 노드로 구성되며 각 노드(A1~A4)에는 요소에 개별적으로 번호가 지정됩니다. 사운드 엔지니어의 콘솔로부터 라인 레벨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단계에서는 연산 증폭기 DA1을 사용하여 차동(대칭) 입력을 생성합니다. 가변 저항기 R5는 앰프 전면 패널에 위치하며 감도를 교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어실의 청취 볼륨 레벨을 조정하려면 일반적으로 제어 패널이 사용됩니다.

동일한 패널에는 필요한 경우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응답을 수정할 수 있는 3밴드 활성 톤 컨트롤(연산 증폭기 DA2, DA3)이 있습니다. 해당 레귤레이터는 설치 조정에 무단으로 개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롯 아래 UMZCH 전면 패널에도 있습니다.

UMZCH(노드 A2)에서 주 전압 이득은 고속 연산 증폭기 K574UD1B(DA1)를 기반으로 한 캐스케이드에 의해 제공됩니다. 줄이기 위해 비선형 왜곡트랜지스터 VT1 - VT4에 조립된 사전 터미널 단계는 로컬 OOS(R14, R11, R15, R12를 통해)로 보호됩니다. 온도 안정성은 트랜지스터 VT3, VT4의 컬렉터 회로에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15Ω)의 저항 R19, R20을 포함하여 달성됩니다. 온도 변화에 따른 트랜지스터 VT1, VX2의 베이스-에미터 전압의 불안정성을 보상하기 위해 다이오드 VD3, VD4가 기본 회로에 포함됩니다. 음극 회로의 주파수 보정 및 안정성 피드백커패시터 C10, C11에 의해 제공됩니다.

강력한 출력 이미터 팔로워는 클래스 B 모드에서 작동하는 트랜지스터 VT5, VT6으로 구성되며 출력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된 VD5 다이오드는 계단식 왜곡을 크게 줄입니다. 또한 작은 신호에서는 최종 전단의 전류가 부하로 흘러 저항 R21을 통해 들어갑니다.

증폭기 출력에서 ​​연산 증폭기 DA1의 반전 입력까지 요소 R4, C5, R3, SZ(무극성)를 통해 전체적으로 깊은 네거티브 피드백 덕분에 낮은 고조파 왜곡이 달성됩니다. 출력에서 DC 전압을 최소화하려면 바이어스 극성에 따라 저항 R8을 제로 밸런스 단자(NC) 중 하나에 연결하고 해당 저항을 200~820kOhm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필터 R1C2는 고주파수에서 UMZCH 통과 대역을 제한합니다.

스피커를 보호하고 앰프 출력의 스피커 연결을 지연시키는 장치는 별도의 보드 (노드 A3)에 조립됩니다. 공급 전압을 켠 후 연산 증폭기 DA1에 조립된 2임계 비교기의 출력에 약 10V의 양의 전압이 나타나고 커패시터 C2는 저항 R10 및 R11을 통해 충전되기 시작합니다.

전원을 켠 후 첫 순간에 앰프 출력에서 ​​부하로의 신호가 개방형 릴레이 접점을 통과하지 못하고 KAA 전면 패널의 "보호" LED가 켜집니다. 주어진 시간(회로 R11C2의 시상수에 의해 결정됨)이 지나면 트랜지스터 VT3의 베이스 전압은 이를 개방하기에 충분한 값에 도달합니다. 릴레이 K1(노드 A3)이 트리거되어 스피커를 UMZCH의 출력에 연결하고 동시에 "보호" LED를 끕니다. 지연 중에는 일반적으로 약 2초로 선택되는 지속 시간이 발생합니다. 확성기의 딸깍 소리가 끝날 시간이 있습니다.

앰프 출력에 2V보다 큰 DC 전압이 나타나면 보호 장치는 스피커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를 꺼야 합니다. 트랜지스터 VT1 또는 VT2를 통해 모든 극성의 정전압이 비교기 DA1의 입력에 공급되어 이를 전환합니다. 커패시터 C2는 다이오드 VD8과 저항 R10을 통해 빠르게 방전되고 VT 4, VT5 베이스의 전압이 떨어지고 릴레이 K1은 스피커 출력을 증폭기 출력에서 ​​분리합니다. 동시에 빨간색 "보호" LED가 켜집니다.

UMZCH의 비극성 산화물 커패시터 SZ는 각각 22μF의 연속된 극성 커패시터 2개로 교체될 수 있습니다. 전원 공급 장치는 K50-37 산화물 커패시터를 사용하며 Jamicon과 같은 수입 커패시터로 교체할 수 있습니다. 커패시터 C1 – K73-17.

구조적으로 제어 음향 장치의 본체는 잘린 피라미드 형태로 만들어지며 그 하단에는 UMZCH를 위한 특수 절연 구획이 있습니다. 증폭기는 특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삽입되고 나사로 하우징에 고정됩니다. 입력 및 네트워크 커넥터, 볼륨 및 톤 컨트롤, 전원 스위치 및 퓨즈가 있는 UMZCH의 전면 패널은 후면에 있으므로 KAA 위치를 선택할 때 명심해야 합니다.

제어 음향 장치 KAA-100은 스튜디오 제어실의 편리한 위치에 설치되어 최적의 청취 조건을 보장합니다.

UMZCH 케이스는 접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앰프 전면 패널에 특수 단자가 제공됩니다. 그런 다음 입력 케이블과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스테레오 방송을 청취하려면 신호의 올바른 위상을 보장해야 합니다.

전원 공급 장치를 켜면 스피커 전면 패널의 해당 표시등이 켜집니다.

각 앰프의 입력에 공칭 레벨 신호를 인가하여 감도 조정기로 설정합니다. 요구되는 수준청취 볼륨은 두 제어 음향 장치 모두 거의 동일합니다. 앞으로는 제어실 콘솔에서 레벨을 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KAA-100은 실내의 음향 특성과 제어 장치의 위치를 ​​고려하여 UMZCH의 주파수 응답을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조정 후에는 사운드 레벨 미터를 사용하여 청취 위치에서 제어 장치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 것이 좋지만 결국 주요 기준은 청각 평가입니다.

전문 사운드 엔지니어에 따르면 KAA-100은 고르지 못한 주파수 응답을 가지며, 보컬과 다양한 악기의 보다 자연스러운 음색을 재현하고, 더 나은 "투명도"를 가지며 "사운드 계획"을 왜곡하지 않습니다. 제어 장치 NEC-45(BEAG 제조)와 비교하여 스테레오 모드에서 KAA-100 스피커의 사운드 차이는 더 작았습니다.

1994년 EMOS 도입의 실효성을 검토하던 중 사운드 시스템사운드 엔지니어들은 KAA-100 컨트롤 유닛의 음질이 눈에 띄게 향상되고 자연스러워지며 EMOS의 최적 깊이가 2dB로 인식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국제 전시회에 전시된 KAA-100을 직접 들어본 시연은 국내외 전문가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 음향 시스템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낮은 사운드 주파수 범위에서 스피커의 반응이 좋지 않은 이유 중 하나는 디퓨저의 전면과 후면에서 나오는 방사의 상호 작용입니다. 이 현상을 해결하려면 최적의 음향 부하를 제공하고 이러한 방출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스피커를 설계해야 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퓨저 뒷면의 방사를 사용하여 낮은 사운드 주파수에서 출력을 높이는 저음 반사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약 40Hz의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기존의 베이스 리플렉스는 상당한 음량을 가져야 하므로 널리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보다 성공적인 해결책을 찾기 위해 모스크바 라디오 아마추어 A.G. Presnyakov는 "말발굽"이라고 부르는 음향 장치를 만들었습니다(그림 1).

이 장치는 XVII All-Union Radio Amateur Creativity 전시회에서 시연되었습니다. 경적과 마찬가지로 이는 전파되는 소리 진동의 도파관 역할을 하며 낮은 소리 주파수에서 효율성을 높입니다. 큰 장점과 함께 이러한 장치에는 심각한 단점도 있습니다. 그 안에 설치된 스피커는 중앙을 향해 가늘어지는 파이프에 장착되어 디퓨저 뒤에 대용량 프리 혼 챔버가 형성됩니다. 결과적으로 라우드스피커의 주파수 응답 응답에 수많은 스파이크와 딥이 나타나 균일성이 저하됩니다. 분명히 음향 장치를 말굽 형태가 아닌 중앙쪽으로 가늘어지는 형태가 아니라 말굽 모양으로 접힌 경적 형태로 만드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그림 2).


그림 2

A.G. Presnyakov의 유닛과 마찬가지로 경적에는 측벽만 있고 상부 및 하부 덮개는 평행합니다. 이 경우 혼의 좁은 부분에 설치된 확성기는 확장 파이프에 장착됩니다. 그 결과 원치 않는 공명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라우드스피커의 높은 방사 임피던스가 환경의 낮은 임피던스에 더 잘 매칭됩니다.

저자는 다양한 크기의 여러 장치를 제조했습니다. 그 중 두 개가 그림에 나와 있습니다. 삼; 상단에는 5GD-1 스피커와 함께 작동하는 50dm3 볼륨의 "소형 혼 베이스 리플렉스"가 있고 하단에는 140dm3 볼륨의 "대형 혼 베이스 리플렉스"가 있습니다. 6GD-1 스피커.


그림 3

두 장치 모두 다른 스피커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NIKFI의 전기음향 연구실에서 수행된 측정에 따르면 이 장치는 만족스러운 주파수 감도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패널을 갖춘 5GD-1 스피커의 작은 베이스 리플렉스의 특징입니다. 음향 임피던스(PAS)가 없고 그림 4에 나와 있습니다.


그림 4

6GD-1 스피커를 사용한 대형 혼 베이스 반사의 주파수 응답 응답은 잡지 "Radio" No. 4, 1969, p. 28, 그림 4에 나와 있습니다.

혼 베이스 반사의 사운드는 쾌적하고 독특한 음색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낮은 사운드 주파수에서 높은 방사 효율로 설명됩니다. 소규모 앙상블이 연주하는 재즈 음악이 특히 잘 연주됩니다. 교향악의 고품질 재생을 위해 장치에 PAS 패널을 사용하여 감쇠시킬 수 있습니다(그림 3). PAS는 장치의 대형 벨을 덮는 커버에 장착됩니다. 직경이 10-30mm인 구멍 또는 폭이 10mm인 블라인드와 전체 덮개의 길이가 전체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어야 합니다. PAS는 움직이는 스피커 시스템의 다른 댐핑과 마찬가지로 효율성을 감소시키므로 그 사용은 라디오 아마추어의 취향에 따라 다르며 필수로 권장할 수는 없습니다. 비교를 위해 표에는 4A-28 스피커의 극성 방사 패턴을 기록하여 측정한 효율 값이 나와 있습니다. 다양한 방식등록 표에서 볼 수 있듯이 PAS 패널은 저주파에서 효율성을 감소시키지만 혼 베이스 반사로 작업할 때는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합니다. 거의 경적 베이스 반사를 통해 하나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카페, 레스토랑, 클럽 또는 학교 강당과 같이 50-70명을 수용할 수 있는 홀의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작은 방(휴게실, 홀)에서는 출력에 6P14P 램프가 있는 표준 단일 종단 저주파 증폭기를 통해 혼 베이스 리플렉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물론 사용하는 장치(테이프 녹음기, 라디오)의 자체 스피커는 꺼야 합니다. 거실에서는 추가 앰프 없이 스피돌(Speedol) 유형의 트랜지스터 라디오라도 혼 베이스 리플렉스에 연결하면 상당한 음량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소 복잡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장치 제조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모든 무선 아마추어가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하려면 두꺼운 표준 시트 (12-15mm) 2 장과 일반 얇은 3 층 합판 2 ~ 3 장이 필요합니다. 큰 벨의 경우 두꺼운 합판이 추가로 필요하며, 작은 벨의 경우 베이스 리플렉스의 상부 또는 하부 베이스를 잘라낸 후 왼쪽 트림에서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카세인 접착제와 탄력 붕대 5-6롤(고무 테이프, 약국에서 판매)도 필요합니다.

작업은 상단 및 하단 베이스를 표시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기지 표시는 가장 중요한 작업입니다. 먼저 종이에 연습해 보세요. 그런 다음 두꺼운 합판 한 장을 테이블 위에 놓고 오른쪽 모서리 근처에서 전체 치수, 즉 장치에 사용되는 스피커의 직경과 깊이(높이)를 그립니다. 각 측면에 15mm의 여백을 남겨두고 마킹을 진행합니다(그림 2). 라우드스피커 바로 다음 부분이 약간 좁아진 후, 베이스가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야 하며 합판 시트의 왼쪽 근처 모서리에 있는 특징적인 벨로 끝납니다. 종의 모양은 대칭인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나의 베이스를 표시한 후 결과 형태는 다른 합판 시트로 옮겨집니다. 그 후 두 베이스를 잘라내어 함께 못을 박습니다. 그림과 같이 손톱을 놓는 것이 좋습니다. 5, 구멍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쌀. 5. 대형 베이스 리플렉스의 크기는 괄호 안에 표시됩니다.

베이스에 못을 박을 때 못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끝까지 박지 마십시오. 무차별 파일로 고지 사람을 마무리하는 것이 더 좋지만 합판의 상층에 칩이 없도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리 후 베이스가 분리됩니다.

측벽은 세 겹의 얇은 합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순차적으로 서로 접착되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얇은 합판 한 장을 외부 층의 결을 가로질러 스트립으로 절단해야 합니다. 합판 스트립의 길이는 성형 덮개의 길이(가공 여유분)보다 40-60mm 더 커야 합니다. 스트립의 너비에 따라 장치의 높이가 결정됩니다. 이는 라우드스피커의 직경, 베이스 두께의 두 배, 20-30mm의 여백, 마지막으로 가공 여유를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6개의 합판 조각을 만든 후 8개의 기둥을 나무에서 잘라야 합니다. 랙의 길이는 장치 내부의 높이와 같아야 하며 단면적은 60X60mm입니다. 랙은 평평한 표면에 설치되고 베이스 중 하나가 그 위에 놓입니다(그림 5 참조). 그런 다음 베이스는 기존 구멍을 통해 랙에 못으로 고정됩니다. 측벽을 접착할 때 합판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랙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소켓의 가장자리는 장치의 측면 요소와 일치해야 합니다. 두 번째 베이스는 이전에 목수의 각도를 사용하여 못 박힌 베이스와 정렬한 후 같은 방식으로 기둥에 못을 박았습니다. 접착제를 바르기 전에 합판에 물을 살짝 적시는 것이 유용합니다. 측벽의 첫 번째 레이어를 함께 붙이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합판 조각을 같은 방법으로 준비된 받침대의 끝 부분에 접착합니다. 중앙부터 시작하여 장치를 탄력있는 붕대로 단단히 감싸고 회전시킵니다. 고무의 장력 덕분에 얇은 합판이 전체 둘레를 따라 베이스에 단단히 고정됩니다. 접착제 건조 시간은 6~8시간입니다. 측벽의 두 번째 및 후속 합판 층은 같은 방식으로 접착되지만 이제 접착할 스트립의 전체 표면에 접착제가 묻어 있어야 합니다.

장치 본체를 접착한 후 못을 빼내고 고정 포스트를 제거하고 못의 구멍을 나무 막대기로 단단히 막고 튀어 나온 끝을 칼로 잘라냅니다. 그 후 유닛의 최종 마무리가 시작됩니다. 측벽의 튀어 나온 가장자리는 퍼즐로 톱질하고 바스타드 파일로 처리됩니다. 소켓의 개구부는 두꺼운 합판으로 잘라낸 뚜껑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처리됩니다. 덮개를 조정한 후에는 제자리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렇게하려면 내부의 소켓 모서리에서 강철 모서리를 나사 또는 나사로 고정해야하며 M4 나사의 경우 나사산을 절단해야합니다. 플레어 커버를 통과하는 나사는 플레어 커버를 제자리에 단단히 고정시킵니다. 소켓 커버가 설치된 장치는 매끄러운 표면이 얻어질 때까지 샌딩 처리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장치의 외부 표면을 귀중한 목재 베니어판으로 덮고 광택을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작업에는 특정 기술이 필요합니다. 베니어판이 없는 경우 합판 외부 레이어의 나무 패턴을 미리 선택하고 장치를 광택 처리한 후 광택을 낼 수 있습니다.

뚜껑이 소켓 가장자리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려면 펠트 조각이나 얇은 천을 둘레를 따라 접착해야 합니다. 장치를 PAS 없이 사용하려면 커버에서 대형 소켓까지 프레임을 잘라야 합니다. 작은 덮개에는 스피커용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두 커버 모두 그다지 두껍지 않은 천으로 덮을 수 있으며 구멍이 보이지 않도록 벨 커버의 외부 표면을 물로 희석 한 잉크로 칠하는 것이 유용합니다.

라디오 8호 1970년 pp.34-35.




맨 위